안녕하세요. 오늘은 워 썬더 실제 항공기 고도 및 속력 측정 방법과 Control Pannel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게임상 이 아니라 실제 항공기 속도 측정 방식과 MIG 21의 조종 패널을 중점으로 제어판을 보는 방법을 리뷰하려고 합니다.
항공기의 고도 측정 - 압력 고도
비행 중인 항공기에서 진고도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항공기의 고도로 압력 고도 Pressure altitude를 사용하여 측정을 합니다. 압력 고도는 항공기에 장착된 압력계에서 측정된 압력과 같은 값을 갖는 표준 대기의 고도를 말합니다. 즉 항공기의 고도계는 압력을 측정하여 이를 고도로 나태는 것입니다. 유사하게 온도 고도 Temperature altitude 및 밀도 고도 Density altitude를 정의할 수 있는데 여러 고도에서 같은 온도를 갖기 때문에 대류권 내에서 비행하는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밀도는 직접적으로 측정이 어려워 사용하기 쉽지 않다고 합니다.
속력 측정 방법
항공기는 공기에 대한 상대 운동으로 양력을 얻어 비행을 합니다. 그러므로 항공기의 지구에 대한 상대 속력인 대지 속력 GS Ground speed보다 지구 대기에 대한 상대 속력인 진대 기속력 True speed이 더 중요합니다. 그래서 대기의 대류에 의해 항공기 주위의 공기는 이동하며 이 속력을 풍속이라고 합니다. 물론 이 풍속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변화합니다. 즉 다시 말해서 땅에서 측정할 때와 높은 고도에서 측정한 값이 다르다는 겁니다. 그래서 항공기가 비행 중 항공기 주위에 지나가는 공기들을 측정함으로써 항공기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계속 진행하자면 이 공기를 측정하여 알아낸 속도를 지시 대기 속도 IAS라고 합니다.
IAS는 Indicated Air Speed의 약자로 피토관 pitot probe라고 항공기의 진대 기속력을 측정하기 위한 계기가 있습니다. 피토관은 정압과 정압의 차인 충돌 압력 impact pressure를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이 충돌 압력으로 항공기의 진대기 속도를 측정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바로 위에서 말씀드렸듯 압력, 밀도 그리고 온도는 고도에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계기를 제작할 때 지상의 압력과 밀도를 이용하는데 이로 인하여 계기에서 표시되는 속력인 지시 대기 속력 IAS라고 하는 겁니다. 이 IAS는 위치나 비행 중 기동을 하면서 측정되는 차압에 오차가 포함되는데 이를 위치오차 Position error라고 합니다. 이 위치오차를 제거한 것이 수정 대기 속력 CAS라고 합니다.
CAS는 Calibrated Air Speed의 약자로 CAS를 만들 때 사용한 지상에서의 압력과 밀도를 비행기의 비행고도에서의 값으로 보정하여 진대 기속력을 구하는 것입니다. 먼저 압력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을 축적 고도 보정 scale altitude correction이라고 하고, 이렇게 보정된 대기 속력을 등가 대기 속력 EAS Eauivalent air speed라고 합니다. 등가 대기 속력을 밀도 보정하여 최종적으로 진대 기속력을 얻는 것입니다. 이때 밀도비는 비행기의 압력 고도로부터 계산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GS Ground speed라는 것이 있는데 TAS에 외부 바람 속도를 계산한 값입니다. 지상에는 심하지는 않지만 하늘에서는 바람이 엄청난 속도로 불기도 합니다. 그래서 조종사는 속도 계기만 보는 것이 아니라 TAS와 GS를 봐야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습니다.
내용 정리
위에 설명이 되게 많기도 하고 어려울 수 있어서 정리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IAS, CAS, EAS, TAS 순으로 보시는 게 가장 좋습니다. IAS는 피토관으로 정압과 충돌 압력을 측정하여 얻은 값이고 기동 하며 생기는 위치오차와 계기장치 수정으로 얻는 값을 EAS라고 합니다. 압력을 보정했다는 말입니다. 최종적으로 EAS에서 밀도를 보정하여 얻는 값을 TAS 진대기 속력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인게임에서는 IAS와 TAS 뿐이지만 위에 설명들도 보셔야 왜 지시 대기 속력과 진대 기속력이 다른지 알 수 있고 내 위치에 따라서 어떤 식으로 몰아야 더 효율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지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MIG 21의 Control Pannel 보는 법
어느 정도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바로 알아보셨을 겁니다. 왕복 기관은 IAS만 있고 제트기는 IAS와 TAS 둘 다 보인다는 것을요. 왕복 기관은 피토관만을 사용하기에 지시 대기 속도만을 보여주고 제트기는 정압과 동압을 측정하는 장비가 있기에 TAS와 GS까지 측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게임에서 기동전을 할 때는 어떤 속도계를 보면서 기동을 해야 하냐 라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 실제로도 속도 계기를 볼 때는 IAS 위주로 봅니다. 항공기 자체의 속도를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TAS를 보면 온도 압력 밀도 등을 보정하여 계산했기 때문에 속도가 적게 나오고 실질적인 사용 용도 자체가 안전한 비행을 위함이기 때문에 둘 다 번갈아 보되 IAS 위주로 보면 되는 겁니다.
마무리
마지막으로 이 글을 보시고 궁금한 것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화에는 독일 저 티어 Fw190 A1에 대해 리뷰하도록 하겠습니다.
'워썬더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썬더 급강하 폭격 하는 방법 (0) | 2023.08.07 |
---|---|
워썬더 착륙하는 방법과 빠른 착륙 방법 (0) | 2023.08.07 |
워썬더 공중전 초심자 가이드 인게임 설정 (1) | 2023.08.07 |
워썬더 간단하게 엔진 개별 조작 및 MEC 하는법 (0) | 2022.08.02 |
댓글